top of page

PROFILE

프로필4_이윤기.jpg

이 윤 기

Lee Yun Gi   李允基

> 이윤기 연보에 부쳐

#1. 이윤기 미술세계의 큰 흐름

1972년 경기도 화성에 태어나 자랐다.

1998년 목원대학교 미술교육과(서양화)를 졸업했다.

그는 여덟 번의 개인전을 가졌다.

개인전으로 살필 때 그의 작품세계는 크게 3기로 나눌 수 있다.

제1기는 1999년부터 2002년까지다. 이 시기의 주제는 사람과 일상.

대전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고향 수원․화성으로 돌아와 그린 그림들이 대부분이다.

그가 본격적으로 어떤 주제를 심화시킬 것인지를 탐색하던 시기이기도 하다.

제2기는 2003년부터 2009년까지. 주제는 목리․생명․그물코.

개인전 제목에 그대로 드러나 있다.

선후배 작가들과 화성시 동탄면 목리로 들어가 창작촌을 일구고,

재개발로 그곳을 떠날 때까지의 작품들이 주를 이룬다.

이 시기에 그의 대표작들이 쏟아졌다.

그는 가난했으나 온전히 작품에 열중할 수 있었고,

동료들의 창작활동과 연대하며,

깊이 천착할 수 있는 주제를 길어 올렸다.

그는 이 시기 몇 개의 큰 사건들과도 마주했다.

2003년 조각가 구본주 작고.

2006년 평택 미군기지 확장으로 사라질 위기에 처한 대추리와 도두리에서의 예술행동.

2009년 동탄2지구 개발로 쫓겨나고 사라진 목리창작촌.

그의 미술이 생명미학과 만나고

분단의 현실을 직시하며, 국토가 무엇인지를 깨닫는 순간들이었다.

대표작들은 그런 미적 정신이 깊게 침윤되어 있다.

제3기는 그 스스로의 삶을 성찰하는 2010년부터 작고할 때까지다.

주제는 이주․공동체․연대.

그는 목리를 나와 헌집을 구해 작업실로 꾸렸으나,

삶의 지속을 위한 생활력 키우기에 더 시간을 투자했다.

작업실을 비우는 시간이 많아졌고, 그는 그 시간을 안타까워 했다.

그러다가 입주한 경기창작센터는 그의 미술세계에

큰 숨통이 터진 시기였다.

그의 스승이기도 한 최춘일 센터장과 함께 한 시간이었고,

봄날협동조합을 생성하고 그 이름으로

새롭게 만난 협동조합 예술가들과 다양한 문화예술기획을 펼쳤던 시기였으니까.

이 시기 그는 힘찼고 밝았으며 누구보다 뜨거웠다.

그러나 2010년 <숲의 끝에 멈추다> 이후의

개인전은 일시 멈춤 상태였다.

여러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참여하는 시간들만큼이나

그는 오롯이 다시 자기 스스로를 내 보일 수 있는 개인전을

끝내 열지 못했다.

 

#2. 열정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2010년의 개인전이 마지막 개인전이었으나,

그 이후의 프로젝트 참여는

그의 미술세계 전체를 견주어도 부족하지 않을 만큼의

공공적 작업들을 펼쳐냈다.

역설적으로 개인전이 아닌 프로젝트에서

그의 미술세계의 중핵이라 할

생태 환경 공동체 공공성 연대 저항의 정신이 빛났다.

그것은 고스란히

생태환경미술, 공동체미술, 공공미술, 민중미술의

문맥으로 읽힐 수밖에 없는 미술이었다.

그 첫 시작은 흥미롭게도

2005년의 <목리마을 벽화사업>에서 출발한다.

그는 어린이들과 함께 하는 미술에도 관심을 기울였는데

<찾아가는 어린이 생태미술교육프로젝트>(2010)은

그의 세계가 얼마나 순수하고, 사려 깊으며,

희망의 공동체를 지향했는지 잘 보여준다.

경기창작센터에 입주해서는 건축디자인 사업으로

‘선감어촌체험마을 마을안길 조성’에서 참여했고,

평택 미군기지 옆에 꾸린 ‘안정리 아트캠프’에서

<골목공방 리싸이클링 프로젝트>(2014)도 진행했다.

리싸이클링은 예술과 공공성이 화두가 된 21세기 한극 미술계에서

환경문제를 예술로 풀어내는 가장 적절한 주제였다.

그런 고민이 ‘안산갈대습지 교육장’에 습지서식 자연명패를 제작해 설치하고

생태학습로 조형이정표를 제작하는 일들에 참여하는 계기가 되었다.

2016년 경기만 에코뮤지엄 사업의 일환으로 ‘어린이 예술섬’을 통해

Eco-art 프로젝트를 수행했고,

경기도어린이박물관과 함께 에코아틀리에 “ART&PLAY 예술로 놀자!” 가이드북을 제작하기도 했다.

많은 프로젝트들 중에서도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아랫집 화가와 함께하는 희망이야기프로젝트>(2008),

<화가와 함께하는 어린이텃밭 프로젝트>(2014)

황금산프로젝트 <황금산부엉이>(2015)

<옆집예술: 옆집사는예술가> 화성편(2017)이다.

목리에 있을 때부터 그는 늘 ‘아랫집 작가’, ‘옆집 예술가’였다.

그리고 ‘함께하는’이라는 공동체성이 몸에 익은 작가였다.

그가 참여한 프로젝트는 온전히 그런 그의 정신이 깃든

작업들이다.

 

#3. 어느 날, 다시, 그가 돌아오는

 

대부분의 프로젝트를 나는 직접 보았다.

반면, 기획초대전은 부분적으로만 기억한다.

2018년 나는 경기천년도큐페스타 <경기 아카이브_지금,>의 전시감독을 맡았고

그는 ‘목리창작촌 아카이브’로 초대되었다.

그가 참여한 마지막 기획초대전이다.

초대전의 목록을 살피니, 활동 지역이

수원 김포 안산 화성 고양 용인 파주 인천으로

경기권에 속한다. 창작활동의 반경이 거의 모두

경기권에서 이뤄졌음을 반증한다.

초대전의 전시제목에서 그의 미술이 서 있었던 미학적 주제어를

반추할 수 있다.

눈에 먼저 들어온 것은 ‘DMZ’이다.

<DMZ 특별기획전-물은 자유로이 남북을 오가고…>(2018)

<DMZ 평화의 길을 걷다>(2013)

<DMZ 평화의 길을 가다>(2011)

<상상공간 DMZ 600리 길을 가다>(2010)

<분단의 섬 DMZ>(2009) 등이 있고,

<통일미술>(2003, 2004), <평화의 씨를 뿌리고>(2006)

<경기 1번국도>(2007), <평화를 그리는 사람들>(2008),

<분단선 너머 하늘이 열린다>(2008)도

그와 관련된 주제다.

그러니, 그의 작업이 무엇보다 분단 한반도의 현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의 미학적 관심 또한 그 주제로 깊게 가 닿아 있음을 파악할 수 있겠다.

그 외 그의 활동은,

<경기도의 힘>, <파견미술 끝나지 않은 전시>(2010)

<숙골로 스쾃 커뮤니티>(2011), <돌아온 봄날>(2015)

<다시 봄이 오다>(2017), <세월아세월아가슴아픈세월아>(2014)

<기억되는 것은 사라지지 않는다>(2007)에서 볼 수 있듯이

기억과 투쟁과 시대와 역사의 문제에서

넓은 동심원을 그리며 번져나갔음을 또한

살필 수 있다.

그는 그 모든 전시들에 여전히 남아있고

살아있으며, 묵묵히 외치면서, 소리치면서

남아있는 우리들을 향해

바꿔 나가라고,

다시 개벽의 순간들을 만들어 내라고,

더불어 사는 사회의 앞날을 지금 여기로 당기라고,

분단 모순의 현실을 넘어서라고,

하얗게 웃으며 서 있다.

없이 있는 그가, 여기로 돌아오는

순간들이다.

                                                     /  김종길 미술평론가

>>

1972 경기 화성 출생

1998 목원대학교 미술교육과(서양화) 졸업

개인전

2010 숲의 끝에 멈추다, 화성시립 봉담도서관, 경기도

2010 이주프로젝트 ‘화가의 방’, 유엔아이센터, 화성, 경기도

2009 그대로 멈춰라, 갈라 갤러리, 서울 / 수원미술전시관, 수원, 경기도

2008 生命의 그물코, 영아트 갤러리, 서울 / 수원 한데우물문화공간, 경기도

2007 목리에서 마주친 얼굴, 갤러리 눈, 서울 / 수원미술전시관, 수원, 경기도

2002 일상, 수원미술전시관, 수원, 경기도

2000 소를 닮은 나, 갤러리 그림시, 수원, 경기도

1999 도전하는 사람들, 갤러리 그림시, 수원, 경기도

 

 

프로젝트

2017 경기만 에코뮤지엄 누에섬 ‘바람과 춤추는 물고기’ 조형제작설치, 안산문화재단, 안산, 경기도

          ‘옆집예술: 옆집사는예술가’ 화성편, 화성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수원, 경기도         

          머니투데이방송 2017 ‘청소년 최고경영자과정 AMP 캠프’ 창의예술프로그램 진행, 가평, 경기도

          에코아틀리에 "ART&PLAY 예술로 놀자!" 가이드북 제작, 경기도어린이박물관, 용인, 경기도

          선감옛길 조성사업 이정표 제작, 경기창작센터, 안산, 경기도

          안산갈대습지 생태학습로 조형이정표 제작, 안산환경재단, 안산, 경기도

          ‘너희를 담은 시간’ (세월호 3주기 추모 전시기획), 경기도미술관 프로젝트갤러리, 안산, 경기도

2016 경기만 에코뮤지엄 ‘어린이 예술섬’ 누에섬 스토리텔링 Eco-art 프로젝트, 누에섬전망대, 안산, 경기도

          ‘다시 봄 –너희를 담은 시간전’ (세월호 2주기 추모 전시기획), 안산문화의예술전당, 안산, 경기도

          안산갈대습지 교육장 벽면 리모델링(습지서식 자연명패 제작 설치), 안산갈대습지 교육장, 안산, 경기도

          ‘팽이와 아트박스’, 경기문화재단 더문화 지자체협력사업

          시흥공구상가 썬큰광장 리모델링 사업, 시흥시 창공문화예술센터, 시흥, 경기도

          안산시 환경재단 사업보고 전시기획, 안산환경재단, 안산문화예술회관, 안산, 경기도

2015 동⦁동⦁동 프로젝트, 한국여성재단, 서울

          아르코 공공미술시범사업 황금산프로젝트 ‘황금산부엉이’(예술섬부엉이등대), 경기창작센터, 안산, 경기도

2014 화가와 함께 하는 어린이텃밭 프로젝트, 화성에코센터, 화성, 경기도

          업싸이클링 ‘골목공방’ 프로젝트, 안정리 아트캠프, 평택, 경기도

2013 화⦁화⦁화(華⦁畵⦁和) 프로젝트-삼삼오오아트평상, 화성시 기천1리, 경기도

          대부도 오래된집 답사 프로젝트, 경기창작센터, 안산, 경기도

2012 DIO 건축디자인 사업 선감어촌체험마을 ‘마을안길’ 조성사업, 선감도, 안산, 경기도

2011 그림타일로 꾸미는 우리 동네이야기, 화성시 기천 1리 노인정, 화성, 경기도

2010 찾아가는 어린이 생태미술교육프로젝트, 안산, 수원, 화성, 경기도

2008 아랫집 화가와 함께하는 희망이야기프로젝트, 목리창작촌, 화성, 경기도

          ‘화가와 시장체험을 통한 그림이야기’ 사강시장 활성화 프로젝트, 화성, 경기도

2005 목리마을 벽화사업 및 조형설치프로젝트, 목리창작촌, 화성, 경기도

기획초대전

​2018 경기천년도큐페스타 경기아카이브_지금전, 경기상상캠퍼스 (구)임산임산학관, 수원, 경기도

          DMZ특별기획전-물은 자유로이 남북을 오가고 새는 바람으로 철망을 넘는다, 김포아트빌리지, 김포, 경기도

2017 다시봄이오다 (수원민족예술제), 수원미술전시관, 수원, 경기도

2016 깜빡이는 새틀라이트(Satellite), 경기창작센터, 안산, 경기도

          21C 수원화성화첩-성곽길따라 걷다, 수원미술전시관, 수원, 경기도

2015 수원 지금 우리들 (수원시립미술관개관기념전),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수원, 경기도

          알 수 없는 그 무엇?-하하하, 옥과미술관, 곡성, 전남

          故최춘일 추모전 ‘돌아온 봄날’, 경기창작센터, 안산, 경기도

          MTP 젊은 시선, 엠티피몰, K-Art Media 갤러리, 인천

2014 아트로드77, 논밭갤러리, 헤이리, 파주, 경기도

          작업장, 문화공장오산, 오산, 경기도

          화⦁화⦁화(華⦁畵⦁和) 결과보고전, 화성문화재단, 화성, 경기도

          세월아세월아가슴아픈세월아, 행궁동 레지던시, 수원, 경기도

          ‘오래된 始作-교동, 수원예술을 품다’ 개관기념기획초대전, 해움미술관, 수원, 경기도

2013 대부도 오래된집 답사프로젝트 아카이브, 경기창작센터, 안산, 경기도

          DMZ 평화의 길을 걷다, 수원미술전시관, 수원, 경기도

          왓츠온, 경기창작센터, 안산, 경기도

2012 수원화성 창작깃발, 수원화성, 경기도

          페이퍼, 사이다 페이퍼갤러리, 수원, 경기도

2011 오늘, 또 다른 이날, 수원미술전시관, 수원, 경기도

          숙골로 스쾃 커뮤니티, 인천 남구 도화동44-1, 인천

          숲의 끝에 멈추다 II, 동탄복합문화센터, 화성, 경기도

          DMZ 평화의 길을 가다, 어울림미술관, 고양, 경기도

          친애하는 동식물에게, 인천 문화예술회관, 인천

          SAF, 해피갤러리, 수원, 경기도

          그 아름다운 동행, 경기도 교육복지 종합센터, 수원, 경기도

          경기 민족예술제, 용인 호수공원, 용인, 경기도

2010 경기도의 힘, 경기도 미술관, 안산, 경기도

          낙원의 이방인, 수원미술전시관, 수원, 경기도

          살아있는 시간, 홍대 앞 잔다리 통로갤러리, 서울

          상상공간 DMZ 600리 길을 가다, 수원미술전시관, 수원, 경기도

          황해미술제-인정게임 당신의 NO.1, 인천종합예술회관, 인천

          끝나지 않는 전시-미영 씨가 시킨 전 II, 성신여대 조형2관, 국회의사당 서울

          프로젝트 A4 데모, 대안공간 눈, 수원, 경기도

          ‘견지동 99번지’ 기금마련전, 평화박물관 space99, 서울

          함께하는 경기도미술관, 수원미술전시관, 수원, 경기도

2009 우리는 일하고 싶다!, 민주공원, 부산

          평화미술제, 제주현대미술관, 제주도

          나혜석생가 거리, 수원 포교당, 수원, 경기도

          epoche-판단중지, 부평구청, 인천

          경기평화미술제, 알바로시자홀, 안양, 경기도

          분단의섬 DMZ, 알바로시자홀, 안양, 경기도

          보물·사람, 샬레 갤러리, 용인, 경기도

          드로잉시티, 문화공간 해시, 인천

          시승격 60주년 기념 특별전, 수원미술전시관, 수원, 경기도

2008 평화를 그리는 사람들, 평화박물관 SPACE*PEACE, 서울

          마우스 마우스, 영아트갤러리, 서울

          강은 산을 끌어안고, 수원미술전시관, 수원, 경기도

          분단선 너머 하늘이 열리다, 안산 문화예술의전당, 안산, 경기도

2007 경기 1번국도, 경기도미술관, 안산, 경기도

          32개의 표정, 삼일로 창고극장 갤러리, 서울

          기억되는 것은 사라지지 않는다, 눈 갤러리, 서울

          서울로 간 갑돌이와 갑순이, 구로문화관, 서울

2006 농민사랑예술 삶의 뿌리 33인, 국회의사당의원로비, 서울

          서울민족미술전 ‘겸재의 한양 풍경을 찾아서’, 학고재, 서울

          핀치히터, 구 전남도청사, 광주

          노동미술굿 네 가지 이야기, 인천 문화예술회관, 인천

          평화의 씨를 뿌리고, 평화박물관, 서울

          멜랑꼴리, 단원미술관, 안산, 경기도

          땅의 기억, 평택 대추리, 경기도

          조국의 산하 ‘평택-평화의 씨를 뿌리고’, 대추리, 평택 / 경기도문화의전당, 수원, 경기도

          대추리 주민 얼굴 그리기, 대추분교, 평택, 경기도

2005 목리에서다, 수원미술전시관, 수원, 경기도

          인권, 수원 미술관, 수원, 경기도

          아름다운 공공기관, 수원시청, 수원, 경기도

          따뜻한 손, 수원 나눔의집, 수원, 경기도

          땅의 기억, 수원미술전시관, 수원, 경기도

2004 룡천 어린이, 부천시청, 부천, 경기도

          나혜석거리미술, 나혜석거리, 수원, 경기도

          통일미술, 수원미술전시관, 수원, 경기도

2003 인권, 수원미술전시관, 수원, 경기도

          통일미술, 수원미술전시관, 수원, 경기도

          거리미술, 만석공원, 수원, 경기도

          나혜석 거리미술, 나혜석거리, 수원, 경기도

2002 제3회 화성 아트쇼, 경기도 문화예술회관, 수원, 경기도

          오산시청건립기념 4인의 눈을 통해 본 작은세상, 오산시청, 오산, 경기도

          잠시 뒤를 돌아 보며, 수원시청, 수원, 경기도

          수원 유망작가, 인사아트프라자, 서울

2001 인권미술, 경기문화재단 전시실, 수원, 경기도

          경기 구상작가, 경기도 문화예술회관, 수원, 경기도

2000 신진작가 발언, 서울 시립미술관, 서울

          한·일 국제교류 JALLA, 동경도립미술관, 일본

          큰사랑 작은 그림, 수원 청소년 문화센터, 수원, 경기도

          반딧불이, 수원 성곽, 수원, 경기도

          환경을 생각하는 그림, 경기문화재단, 수원, 경기도

          이보다 좋을 수 없다, 이공갤러리, 대전

          한밭 오늘의 작가, 나화랑, 서울

          막그림 막부채, 쿠이갤러리, 수원, 경기도

          오산미협 창립전, 한남 신용금고, 오산, 경기도

1999 경기미술 새로운 도약, 경기도 문화예술회관, 수원, 경기도

          갤러리 그림시 젊은 작가, 갤러리 그림시, 수원, 경기도

          새로운 1000년의 비전, 베아트리체, 평택, 경기도

          맑은 물, 경기도 문화예술회관, 수원, 경기도

          화성 아트쇼, 경기도 문화예술회관, 수원, 경기도

그룹전

​2006-2015, 2017 수원민족미술인협회 ‘동네야놀자’, 수원, 경기도

1999-2018 수원민족미술인협회 정기전, 수원, 경기도

2006-2011 아름다운 공공기관전

2002-2011 화성깃발전, 수원화성, 경기도

1999-2006 경기구상작가전, 수원, 경기도

1997-2001 탈밖, 대전

1996-1997 구일, 현대화랑, 대전

1996           흑백과 칼라, 현대화랑, 대전

소속단체

2017-2018 봄날예술인협동조합 대표이사

2012-2016 봄날예술인협동조합 이사

2010-2012 수원민족미술인협회 사무국장

1999-2020 수원민족미술인협회

1999-2006 경기구상작가회

작품소장처

​2008, 2010, 2014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2008                      성남큐브미술관 성남미술은행

2000                      갤러리 그림시

수상 경력

​2015    수원시 100인 예술인 선정, 수원예총

2001.2 경기문화재단 이달의 작가

1999    수원갤러리 그림시 젊은작가전 최우수작가

1996    뉴코아 전국미술학도장학공모전 우수상(서양화)

 

 

레지던시

2013-2018 경기창작센터 기획레지던시 입주작가, 안산, 경기도

2003-2010 목리창작촌, 화성, 경기도

COPYRIGHT©2020  LEE YUN GI.  ALL RIGHTS RESERVED.

  • 회색 페이스 북 아이콘
  • 회색 유튜브 아이콘
  • 화이트 페이스 북 아이콘
  • 화이트 유튜브 아이콘
bottom of page